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성균관 간소화 표준안-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 그림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 - 성균관 간소화 표준안, 차례상 그림, 차례상 차리기


 안녕하세요. 2022년 09월 05일에 성균관 의례정립위원회에서 '전'을 꼭 부칠 필요는 없다며 제안한 간소화 차례상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번 차례상 간소화 방안은 기존 유교에 대한 반성문처럼도 보인다고 합니다.
성균관 측의 말에 따르면 사계 김장생 선생의 사계전서 - 41권 의례문해에 따라 밀과 유병 등 기름진 음식을 쓰는 것은 예가 아니라는 점을 소개했습니다.
 내용대로라면 차례상 차리기 과정 중에 가장 힘들다고 여겨지는 '전'을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야 말로 차례상을 준비하는 분들에게는 더 없는 희소식일 것 입니다.

 

 

 



성균관에서 제안한 "표준안 진설도"

성균관에서_제안한_추석차례상_표준안_진설도
성균관에서_제안한_추석차례상_표준안_진설도

 보시는 바와 같이 차례상에 올라가는 음식들은 '송편', '나물', '구이', '김치', '과일 4종' 입니다.
 그리고 예법을 따지지 말라고 권장하고 있습니다.
 '홍동백서(紅東白西·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조율이시(棗栗梨枾·대추·밤·배·감)' 와 같은 예법은 옛문헌에는 없었다고 합니다. 편하게 놓을 수 있는 위치에, 또는 살아생전에 좋아하셨던 음식을 가까이 두어도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외에도 지방이 아닌 조상의 사진을 두고 제사를 지내도 무관하다고 합니다.

 이는 예를 차리고 20가지를 훌적 넘기던 이전 차례상과 비교한다면 더 없이 부담이 없는 차례상이 아닐 수 없습니다.
 가지수도 그렇지만 그 중에서도 구부리고 앉아서 몇 시간을 기름냄새를 맡으며 준비했던 '전' 이 빠진다는 것은 더 없는 희소식이 아닐 수 없을 것 입니다.
 그리고 요즘같이 고물가 시대에 그나마 가벼워진 주머니로 가볍게 준비할 수 있는 차례상이야 말라로 희소식 중에 희소식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다들 이번 추석에는 가족들과 협의해서 간소화된 성균관 의례정립위원회식 차례상을 차려보는 걸 추천드려 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풍성한 한가위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