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주식용어 뜻 정리

펀앤펀 2022. 10. 17. 20:59

 

 

 

 

 

※ 시가총액 이란 (시총액) 뜻?

= 총 발행주식수 * 주가

 

    시가총액 간단하게 정의하자면 현재 이 기업 전체의 가치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 발행주식수 란? (발행주식수 뜻)

= 시가총액 / 주가

 

   시가총액 계산방식의 역순으로 보시면 됩니다.

   한 기업의 소유권한을 발행주식수만큼 나누어서 주주들이 소유한다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 주가 (종목가, 종목시세, 종목 가격 등) 란?

  = 시가총액 / 총 발행주식수 = 주식 1개의 가격

 

   시가총액을 발행된 주식수로 나눈 값을 주가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주식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주가가 "비싸다.", "싸다"라는 표현을 " 주식 1개" 시세가격이 높으면 주식이 '비싸다'라고 생각하시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심각한 착오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같은 시가총액으로 평가받는 기업이라도 발행주식수가 다르다면 주식수를 많이 발행한 기업일 수록 주가가 낮게 보입니다.

 

 

 이를 주가가 '싸다' 라고 판단하시면 심각한 손실로 이어질 수 있으니 꼭 알고 넘어가셨으면 합니다.

 

예시) A기업 : 시가총액 (시총액) - 100만 원

                    발행주식수           - 100개     

                    주가 (종목 시세)    - 1만 원

 

       B기업 : 시가총액 (시총액) - 100만 원

                   발행주식수          - 10개

                   주가 (종목 시세)   - 10만 원 

 

 이처럼 기업가치가 같은 기업도 발행주식수를 늘릴수록 주가가 낮아 보입니다.

 

 주가가 낮다고 "이 주식은 싸다 = 이 기업가치가 낮게 평가되고 있다."라고 판단하는 오류는 없으셨으면 합니다.

 

 

 

 

 

 

※ 매출액 이란? (매출액 뜻)

= 기업 영업활동을 통해서 발생시킨 모든 수익을 말합니다.

 

 

 

 

※ 영업이익 이란? (영업이익 뜻)

= 매출액 - 매출원가 - 판관비(판매비 + 관리비)

 

    간단하게는 일정기간 동안 영업을 위해 발생된 비용을 매출에서 뺀 금액(이익)으로 이해하셔도 됩니다.

 

 

 

 

 

※ 당기순이익 이란? (당기순이익 뜻)

= 영업이익 - 영업외 비용 + 영업외 수익 - 법인세

 

   간단하게는 일정기간 동안 영업활동을 통해서 벌어들인 순이익을 말합니다.

 

   영업이익에서 영업외에서 발생된 이익과 손실, 비용, 법인세 등을 반영한 최종 수익으로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 자산총계 란? (자산총계 뜻)

= 부채총계 + 자본총계

 

   이해를 돕기 위해 자산을 개인이 소유한 집에 비유하여 예시를 들겠습니다.

 

   자신이 구매하려는 아파트 6억, 그중에 대출이 4억, 순수 자기 자본 2억으로 구입하려고 가정하겠습니다.

 

   그렇다면 아파트 금액 6억이 자산이고, 4억이 부채, 2억이 자본이라고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 EPS 란? (주당순이익) (EPS 뜻)

= 당기순이익 / 총 발행주식수

 

   한 해 동안 벌어들인 수익을 총 주식수로 나눈 금액을 뜻합니다.

 

 

 

※ BPS 란? (BPS 뜻) (주당 순자산가치)

= 순자산 / 총 발행주식수

 

   순자산은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수 자산을 뜻 합니다.

 

 

 

※ DPS 란? (DPS 뜻) (주식 배당금)

= 기업이 배당하는 총금액 / 총 발행주식수

 

   한마디로 저희가 흔히 접하는 "배당금"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 ROE 란? (ROE 뜻) (자가자본이익률)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투입한 자기자본으로 얼마만큼의 수익을 냈는지를 비율로 보여주는 수치입니다.

 따라서 이 수치는 높으면 높을 수록 좋은 수치입니다.

 

 예시) 당기순이익 : 10만원 / 자기자본 : 100만원

           10 / 100 = 0.5 = 10%

 

          당기순이익 : 50만원 / 자기자본 : 100만원

          50 / 100 = 0.5 = 50%

 

이처럼 ROE가 높으면 높을 수록 이익률이 높은 기업이라고 판단 할 수 있는 지표가 됩니다.

 

 

 

 

※ PER 이란? (PER 뜻) (주가 수익비율)

= 시가총액(시총액) / 당기순이익

 

   쉽게 설명하자면 지금 기업의 전체 가치를 1년 동안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수치입니다.

 

 

   간단한 예시를 들면, 프랜차이즈 음식점을 개점하려고 합니다.

 

   프랜차이즈 개점비용 10억 / 1년 예상 순익익 1억

   = 투자비용 회수를 위한 기간 10년

 

   이 회수에 필요한 기간 "10년"을 "10 PER"로 생각하시면 이해가 쉽습니다.

 

   이처럼 PER라는 수치가 작으면 작을수록 빠른 시간에 투자비용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점점 수익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점점 주가가 높아지게 됩니다.

  주가가 높아지면 PER의 수치가 높아졌다라는 것은 이 기업에 해단 기대치가 높아졌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ER에 대한 다른 계산식으로는 "주가(주식 1개의 가격) / EPS (주당순이익)"도 있다.

 

 

 

 

 

※ PBR 이란? (PBR 뜻) (주당 순자산비율)

= 주가 (주당 가격) / BPS (주당 순자산가치)

 

   이 수치는 BPS (주당순자산가치)를 주가와 비교한 수치입니다.

 

   쉽게 표현하면 주식수로 나눈다는 뜻인 "주당"을 모두 지워보겠습니다.

 

   순자산비율 = 시가총액 / 순자산금액

 

   즉, 순자산금액이 기업의 총가치에 얼마 정도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지표이다.

 

   "이 수치가 '1'이라면 순자산가치가 현재 이 기업의 총가치와 같다"라고 판단하시면 됩니다.

 

   때문에 이 수치가 '1'보다 크다면 이 기업은 현재 '순자산가치'보다 낮게 평가받고 있다고 판단하시면 됩니다.

 

댓글수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