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타링크 (Starlink) 서비스 - 사용료, 속도, (한국 출시) 국내상용화 시기, 장단점

펀앤펀 2022. 9. 20. 01:57

 스타링크 서비스 - 사용료, 속도, 국내 상용화 시기, 장단점


※ 목차

1. 스타링크 서비스 (Starlink service) 국내상용화 시기

2. 스타링크 서비스 (Starlink service) 인터넷 속도

3. 스타링크 서비스 (Starlink service) 사용료

4. 스타링크 서비스 (Starlink service) 구성품

5. 마무리 (필자생각)


 

1.  스타링크 서비스 (Starlink service) 국내 상용화 시기

출처 - 스타링크 홈페이지
스타링크 서비스가능 지역 세계지도
출처 - 스타링크 홈페이지
스타링크 한국 서비스 지역 지도
출처 - 스타링크 홈페이지

 

 현재 기준으로 스타링크가 이미 상용화된 국가는 미국 본토와 알래스카, 하와이, 유럽연합, 우크라이나, 터키, 호주, 뉴질랜드, 칠레 등 약 36개국에서 서비스를 사용 중입니다. 사용자수는 40만명 정도로 많지 않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2022년 올해 초 14만 5000명을 돌파한후 8월 말경에 40만 명가량으로 늘어났으니, 가입자 증가율로 본다면 꽤나 빠른 속도입니다그리고 올해 말에는 일본에서도 상용화될 예정이며, 내년 2023 1분기에는 우리나라도 서비스 대상 국가가 된다고 합니다. 

 


2.  스타링크 서비스 (Starlink service) 인터넷 속도

스타링크 서비스별 인터넷 속도
출처 - 스타링크 홈페이지

- 일반 스타링크

  일반 스타링크의 다운로드 속도는 50 Mbps (초당 50Mb) ~ 100 Mbps (초당 100Mb), 업로드 속도는 20 Mbps (초당 20Mb)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제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리뷰(사용후기)를 보면 최대 속도가 200 Mbps를 넘기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그리고 올해 안에는 속도를 300 Mbps (초당 300 Mbps)까지 올릴 계획이며, 최종 목표는 1 Gbps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로 알려져 있다.

 

- 비즈니스 스타링크

 일반 스타링크는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다면, 비즈니스 스타링크는 일반 사용자들보다는 빠른 속도의 인터넷을 필요로 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제작되었다고 한다.

 비즈니스 스타링크의 다운로드 속도는 100~350 Mbps (초당 100~350Mb)를 제공하고, 업로드 속도는 10~40 Mbps를 제공한다고 한다. 하지만 속도가 빨라진 만큼 비즈니스 사용자들이 지불해야 하는 금액은 일반 사용자보다 많이 비싸다는 점이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이 외에도 RV용과 해양용 통신서비스도 위의 표에 나타나 있습니다.

- 스타링크의 장단점

 하지만 이렇게 스타링크에서 발표한 속도가 매번 지켜진다고 보기는 어렵다. 주변에 다른 사용자들이 많지 않다면 속도가 크게 저하되지 않지만, 도심처럼 주변에 본인 이외에 많은 사용자들이 있다면 심하게는 다운로드 속도가 20 Mbps 도 되지 않는 속도가 나올 수 있다. 

 

 그래서 애초에 일론 머스크는 이번 프로젝트는 도심의 사용자들보다는 통신서비스에 취약한 곳에 위치한 세계의 여러 사용자들을 주요 대상으로 한다고 말한 바 있다. 그만큼 위성통신의 장단점이 있음을 인정한 것이다.

 그리고 날씨에 따라서 속도가 크게 영향을 받기도 한다는 후기들이 있다. 비가 오는 날이면 답답해서 사용하지 못할 정도라는 이야기도 있다.

 

 

 

 


3. 스타링크 서비스 (Starlink service) 사용료

 

일반 스타링크 사용료 - 뉴욕 월스트리트(Wall St, New York, NY, USA) 기준

일반 스타링크 사용료 - 뉴욕 월스트리트(Wall St, New York, NY, USA) 기준
출처 - 스타링크 홈페이지

- 일반 스타링크

 현재 한국은 서비스 대상지역이 아님으로 미국의 월스트리 기준의 비용을 알아보았습니다.

 우선 월 사용료는 US$110, 초기 하드웨어 가격은 US$599, 배송비는 US$50입니다.

 

 

고성능 스타링크 사용료 - 뉴욕 월스트리트(Wall St, New York, NY, USA) 기준

고성능 스타링크 사용료 - 뉴욕 월스트리트(Wall St, New York, NY, USA) 기준
출처 - 스타링크 홈페이지

- 고성능 스타링크

 고성능 스타링크는 다른 조건은 동일하나 장비에 안정성인 높인 서비스입니다. 그래서 하드웨어 가격만 다르다고 보시면 됩니다.

 고성능의 하드웨어 가격은 US$2,500로 일반 장비보다 약 US$1,900가 비쌉니다.

 

스타링크 비즈니스 (BUSINESS) 사용료 - 뉴욕 월스트리트(Wall St, New York, NY, USA) 기준

스타링크 비즈니스 (BUSINESS) 사용료 - 뉴욕 월스트리트(Wall St, New York, NY, USA) 기준
출처 - 스타링크 홈페이지

- 스타링크 비즈니스 (BUSINESS)

 프리미엄 스타링크의 가격은 월 사용료는 US$500, 초기 하드웨어 가격은 US$2,500, 배송비는 US$50입니다.

 


4. 스타링크 서비스 (Starlink service) 일반, 고성능 구성품

 - 일반 스타링크 구성품

일반 스타링크 전체 구성품

일반 스타링크 전체 구성품
출처 - 스타링크 홈페이지

 전체 구성품은 스타링크 (안테나), 베이스(받침대), 라우터(공유기), 스타링크 케이블, AC 케이블(전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반 스타링크 안테나 세부 정보

일반 스타링크 안테나 세부정보
출처 - 스타링크 홈페이지

일반 스타링크 와이파이 라우터

일반 스타링크 와이파이 라우터
출처 - 스타링크 홈페이지

 

 

 

 

 - 고성능 스타링크 구성품

고성능 스타링크 전체 구성품

고성능 스타링크 전체 구성품
출처 - 스타링크 홈페이지

 

고성능 스타링크 안테나 세부 정보

고성능 스타링크 안테나 세부정보
출처 - 스타링크 홈페이지

고성능 스타링크 와이파이 라우터

고성능 스타링크 와이파이 라우터
출처 - 스타링크 홈페이지

 

고성능 스타링크 전원 공급 장치

고성능 스타링크 전원 공급 장치
출처 - 스타링크 홈페이지

 고성능에 사용되는 장비들의 경우에는 환경요인 (온도, 습도 등)에 좀 더 강하고, 통신의 안정성을 높인 것이 일반 스타링크의 장비와 구분되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5. 마무리 (필자 생각)

 아직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자가 많지도 않고, 우리나라에는 내년에나 서비스가 시작되다 보니 생소한 '스타링크'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스타링크가 한국 서비스를 시작하더라도 몇몇 지역을 제외하고는 고속 인터넷이 생활화되어 있는 한국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할 것이라는 이야기도 많습니다.

 하지만 통신이 소외되어 있는 섬지방이 산악지대에 거주하시는 분들이거나, 내지 바다와 같은 환경요인으로 불편함을 겪고 계시던 분들에게는 희소식일 것입니다. 그리고 차츰 나아가 스타링크가 통화 서비스 업체들과 손을 잡고 세계 모바일 시장에 뛰어든다면 그 여파는 분명히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스타링크'는 분명 장점도 많지만 단점도 있습니다. 밤하늘을 수놓고 있는 별 사이로 지나다니며 천문학 관측에 혼란을 주는 부분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고, 최종 목표 수량인 42,000개의 위성을 쏘아 올리는 과정에 발생하는 우주 쓰레기들, 그리고 수많은 위성들이 서로 충돌하기 시작한다면 재앙이 되지는 않을까 하는 많은 걱정과 우려를 안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점을 하니씩 해결해 나간다면 더 많은 인류가 소외되지 않고 함께 하며 보다 나은 세상을 만들어 나갈 수 있으리라 기대해 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